EU 배출규제 강화로 전기차 각광… 폴란드 공장 증설 이어 공격적 투자
SK이노베이션도 9500억 투자, 헝가리에 제2공장 건설하기로


 

LG화학이 폴란드에 이어 유럽에 추가로 배터리 공장을 짓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4일 LG화학 측은 “아직 확정하지는 않았지만 폴란드 배터리 공장 증설에 이은 신규 공장 건립 여부를 다각도로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회사 관계자는 “유럽연합(EU)이 2020년부터 강력한 이산화탄소(CO₂) 배출 규제를 시행하기로 하면서 최근 유럽 완성차 업체마다 앞다퉈 전기차 출시 계획을 내놓고 있다”며 “완성차 업체들이 자사 본사와 생산 공장 인근에 배터리 공장도 세워지길 희망하고 있어 배터리 업계 전반적으로 유럽 지역 설비 투자가 늘고 있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김종현 LG화학 전지사업부문장(사장)도 최근 폴란드 현지에서 “폴란드 공장 생산능력을 계속 키워 향후 2∼3년 내 유럽 생산 능력을 70GWh(기가와트시)까지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70GWh는 연간 100만 대 이상의 전기차에 배터리를 공급할 수 있는 생산능력이다.

LG화학은 지난해 초 폴란드 브로츠와프에 배터리 공장을 준공한 데 이어 지난해 11월 6513억 원을 추가로 투자해 공장을 증설하기로 했다. 유럽 지역 증설을 토대로 현재 35GWh 수준인 연간 글로벌 배터리 생산 능력을 2020년에는 100∼110GWh로 확대한다는 목표다.

지난달 27일 SK이노베이션도 이사회를 열고 9452억 원을 투자해 유럽에 두 번째 배터리 공장을 건설하기로 했다. 지난해 3월부터 헝가리 코마롬에 짓고 있는 전기차 배터리 1공장(7.5GWh) 인근에 9GWh 이상 규모를 생산할 수 있는 2공장을 짓겠다는 것이다.

SK이노베이션 측은 “급성장하는 유럽 전기차 시장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유럽 자동차 시장 내 입지를 강화해 정면승부를 하기 위한 결정”이라고 말했다. 최근 삼성SDI도 2016년 헝가리에 4000억 원을 들여 지은 전기차용 배터리 공장에 5600억 원을 추가로 투자해 증설에 나서기로 했다.

글로벌 업체들도 공격적으로 설비투자에 나서고 있다. 독일 메르세데스벤츠의 지주회사인 다임러는 첫 배터리 공장을 완성차 공장 인근의 폴란드에 짓겠다고 밝혔다. 세계 최대 배터리 업체인 중국 CATL도 최근 독일 배터리 공장의 연간 생산 규모를 세계 최대인 100GWh까지 키운다고 발표했다.

김지현 기자 jhk85@donga.com

 

상아프론테크 연초 이후 23%대 급등..일부는 주춤세
너도나도 배터리 증설 경쟁.."그래도 수요가 공급보다 많아"
[이데일리 최정희 기자] 연초 이후 전기자동차 판매가 급증하면서 전기차에 배터리를 공급하거나 배터리 소재를 생산하는 업체의 주가에 상승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주가 상승을 망설이게 했던 전기차 수요 둔화 우려가 해소됐고 이에 따라 배터리 투자 경쟁에 대한 걱정도 잠잠해질 것으로 보인다.

출처: 마켓포인트
1일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전기차 배터리 생산업체인 LG화학(051910) 주가는 연초 이후 무려 12%가량 급등해 현대차(005380)를 제치고 시가총액 4위에서 3위로 뛰었다. 삼성SDI(006400)와 SK이노베이션(096770)은 8%대, 4%대 올랐다. 전기차 배터리(2차 전지) 부품 등을 생산하는 상아프론테크(089980)는 23%대 급등세를 보였다. 배터리에 사용되는 양극재 생산업체 포스코ESM과 합병 예정인 포스코켐텍(003670)은 코스피 이전 상장 이슈와 맞물려 8%대 상승하기도 했다.

전기차 판매량은 차량 배출가스 규제가 시행되는 유럽연합(EU) 뿐 아니라 중국, 미국 등에서도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유진투자증권에 따르면 프랑스, 네덜란드 등의 1월 전기차 판매량은 전년동월비 각각 81%, 102% 증가했다. 중국과 미국도 1월 전기차 판매량이 각각 175%, 41% 늘어났다. 중국의 전기차 판매 비중은 무려 4.8%로 올라섰다. 실제로 아우디의 첫 순수 전기차인 ‘E-트론’의 예약 수주가 2만대를 넘어섰고 현대·기아차의 전기차는 올 들어 국내 예약 판매 대수만 1만대를 넘어선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올 하반기를 기점으로 주요 완성차 업체들의 전기차 대량생산 모델들이 생산 단계에 진입하는 만큼 전기차 배터리 수요도 증가할 전망이다. 이순학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E-트론 1대당 배터리 용량이 95kWh이고 예약 대수가 2만대라는 점을 고려하면 배터리 수요만 약 1.9GWh”라며 “E-트론에 배터리를 공급하는 LG화학은 E-트론 모델 하나로만 지난해 출하량(전기차 배터리 출하량 10GWh 상회)의 20% 수준의 수주를 확보한 셈”이라고 설명했다.

전기차 수요에 대비해 배터리 공급업체들도 사업구조를 정비하고 투자를 늘리고 있다. SK이노베이션은 자동차용 배터리 제조·정유사업과 필름 등 소재사업으로 물적분할을 실시하고 배터리 생산과 관련해선 헝가리 제2공장 설립을 통해 2022년까지 연간 생산량을 55GWh에서 60GWh로 확대키로 했다.

포스코켐텍은 포스코ESM과 합병한 후 2020년 2월말까지 2250억원을 투입해 양극재 생산능력을 1만5000톤에서 2만4000톤으로 늘린단 계획이다. 2만4000톤은 40kwh급 전기차 배터리 30만대를 공급할 수 있는 규모다. 에코프로(086520)의 2차 전지 사업부문을 물적분할한 양극재 업체인 에코프로비엠은 5일 상장 예정이다. 에코프로비엠 역시 증설을 통해 현재 약 2만9000톤 규모의 생산 능력을 2020년 5만5000톤까지 늘릴 계획이다.

배터리 증설 경쟁 우려로 최근 주가가 약세를 보였으나 아직 공급이 수요를 따라잡으려면 멀었단 분석도 나온다. 실제로 일진머티리얼즈(020150), 엘앤에프(066970), 코스모신소재(005070) 등 일부 업체는 연초 이후 주가가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한병화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전기차 배터리 시장은 향후 최소 10년간 연 평균 30% 이상의 속도로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배터리 공급 능력이 매 2.5년마다 두 배로 늘어야 하는데 이 수요를 따라잡기 쉽지 않을 것”이라며 “배터리 수요가 전기차에서 에너지저장장치(ESS), 자전거, 오토바이, 선박 등으로 확산하고 있다”고 밝혔다.

최정희 (jhid0201@edaily.co.kr)

18일 美 폴리플러스와 협약
오픈이노베이션 첫 기술확보

미래전기차 핵심소재인
리튬금속전지 상용화 앞당겨

이성준 기술혁신연구원장(오른쪽)이 18일 스티브 비스코 대표(왼쪽)와 협약식을 맺은 후 악수하고 있다. [사진 제공 = SK이노베이션]SK이노베이션이 회사의 미래 성장동력으로 집중 육성하고 있는 배터리 사업 강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SK이노베이션은 18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 버클리에서 미국 배터리 기술 개발 업체인 폴리플러스 배터리 컴퍼니(이하 폴리플러스)와 리튬금속전지 개발을 위한 공동 개발 협약을 맺었다고 19일 밝혔다.

SK이노베이션은 이번 협약을 통해 폴리플러스가 보유한 전도성 유리 분리막 연구개발에 수백억 원대 자금을 투자하게 된다. 향후 지분 투자와 기술 라이선스 확보 옵션도 검토하고 있다. 폴리플러스는 캘리포니아 버클리에 본사를 둔 배터리 기술 개발 업체다. 이 회사가 보유한 전도성 유리 분리막 기술은 리튬금속전지 상용화를 앞당길 핵심기술로 평가받는다. 현재 135건을 넘는 지식재산과 40건의 특허출원을 보유하고 있다.

SK이노베이션은 2021년 하반기까지 전도성 유리 분리막에 대한 연구를 마무리하고, 이를 리튬금속전지 개발에 적용한다는 계획이다.

리튬금속전지는 용량이 흑연의 10배 이상인 리튬 음극을 사용하기 때문에 에너지 밀도가 약 1000Wh/ℓ 수준으로 일반 리튬이온전지보다 두 배가량 높은 미래 전기차 배터리 모델 중 하나다. 하지만 배터리 충전 과정에서 음극 표면에 리튬이 적체되는 덴드라이트(금속 표면 어느 한 부분에 비정상적으로 생성되는 나뭇가지 모양의 결정)가 발생하면서 분리막을 통과 및 훼손해 결국 화재가 일어난다는 한계가 있다.

전도성 유리 분리막은 덴드라이트가 분리막을 통과하지 못하도록 억제해 리튬금속전지를 안정화하는 데 필요한 핵심기술로, 소재 개발에 성공한다면 리튬금속전지 상용화 시점이 앞당겨질 것으로 회사는 기대하고 있다.

이번 협약은 SK이노베이션 기술혁신연구원이 작년부터 추진하고 있는 '오픈 이노베이션(개방형 혁신)' 방식을 통해 기술을 확보하는 첫 번째 사례다.

SK이노베이션은 2017년부터 미국·유럽 소재 주요 연구소, 대학과의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연구개발 협력 생태계를 구축해왔다. 이를 통해 이번 투자협약과 같은 사업 협력 생태계까지의 확장을 지속적으로 시도하겠다는 계획이다. 이외에도 배터리 메탈 리사이클링, 친환경 소재 개발 등에 대한 연구개발 협력 연대를 구축하고 있다. 이성준 SK이노베이션 기술혁신연구원장은 "빠르게 진행되는 미래 전기차 배터리 사업에서 주도권을 갖기 위한 차세대 핵심 역량은 기술력"이라며 "앞으로도 오픈 이노베이션을 활용해 다양한 외부 단체와 협력을 넓혀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SK이노베이션은 미래 먹거리로 육성하고 있는 전기차 배터리 분야에 집중 투자하고 있다. 최근 미국 조지아주에 1조9000억원 규모 배터리 생산설비 구축에 돌입했으며 지난해 8월 중국 장쑤성 창저우에 8200억원을 투자해 신규 전기차 배터리공장을 짓기로 했다. 앞서 지난해 3월에는 8400억원이 투자되는 헝가리 전기차 배터리 공장 기공식을 열기도 했다. SK이노베이션은 2025년까지 추가 수주를 통해 총 생산량을 60GWh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시장에서는 SK이노베이션이 2020년부터 배터리 부문에서 흑자 전환에 성공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윤형조 SK이노베이션 배터리사업지원 실장은 최근 진행된 지난해 4분기 실적 발표에서 "배터리 사업은 적극적으로 수주 확보를 추진하고 글로벌 생산체계를 구축 중"이라며 "아직 배터리 사업 수익성 확보가 제한적이지만, 전기차 배터리 시장이 본격화하는 2020년 이후 이익 실현이 구체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 <용어 설명>

▷ 오픈 이노베이션 : 기업이 업체, 대학, 연구기관과 컨소시엄을 구축하는 등 외부 전문가와 협업해 미래 기술 투자에 대한 불확실성을 효과적으로 줄이는 기술 확보 방식이다. 빠르게 진화하는 기술 개발 트렌드를 반영해 적시에 기술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바이오·제약, 친환경 에너지 소재 업계에서 주로 활용된다.

[강두순 기자]

LG, 비 중국시장 전기차 배터리 2위
삼성SDI는 4위, SK이노베이션도 6위 진입

[CBS노컷뉴스 이용문 기자]

 

(사진=연합뉴스 제공)중국시장에서 쓰인 전기차용 배터리를 제외하면 우리나라의 LG화학과 삼성SDI가 각각 글로벌 2위와 4위를 차지하고 후발주자인 SK이노베이션이 6위를 차지하는 등 우리나라 배터리 업체의 약진이 이어지고 있다.

다만 중국 정부의 몽니에 시달리는 중국시장을 포함하면 순위는 점점 뒤로 밀린다.

16일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중국시장을 제외하고 2018년 연간 판매된 전기차에 탑재된 배터리 사용량 순위에서 LG화학이 2위, 삼성SDI는 4위로 집계됐다.

지난해 연간 세계 각국에 등록된 전기차의 중국시장을 제외한 배터리 에너지 양은 약 37.3Gwh로 전년 대비 82.9% 증가했다.

이 가운데 LG는 7.3Gwh로 1년전 보다 45.9% 성장하면서 파나소닉에 이어 2위에 올랐다.

또 삼성SDI는 2.8Gwh, 성장률 29.5%로 시장 평균에 못 미치면서 1년전 3위에서 4위로 내려섰다.

특히 SK이노베이션은 754Mwh로 2.5배 늘면서 순위도 7위에서 6위로 올라셨다.

우리나라 배터리 3인방은 먼저 LG화학의 경우 현대 코나와 재규어 I-pace, 르노 Zoe 등의 모델이 잘 팔렸고 삼성SDI는 폭스바겐과 스트리트스쿠터 워크 등의 호조로, SK이노베이션은 니로 BEV와 니로 PHEV 판매가 늘어나면서 선방했다.

그러나 정부가 각종 비관세 장벽을 통해 문을 걸어 잠그고 있는 중국시장을 포함시키면 사정은 좀 달라진다.

중국 시장에서 쓰인 배터리를 포함할 경우 2018년 에너지 총량은 약 97Gwh로 1년전보다 64% 증가했다.

LG는 약 7.4Gwh로 46.8% 증가했지만 중국의 CATL 이나 일본의 파나소닉, 중국 BYD에 이어 4위를 지키는데 그쳤다.

비중국 시장만 집계했을 때 7.3Gwh와 비교하면 중국시장에서는 0.1Gwh 정도만 팔았다는 뜻이 된다.

또 삼성SDI는 약 3.0Gwh 28% 증가했지만 시장평균을 밑돌면서 순위가 5위에서 8위로 내려섰다.

중국시장을 제외하면 6위에 오른 SK 이노베이션은 중국시장을 포함하면 아예 10위권 밖으로 밀려났다.

업계관계자는 CBS노컷뉴스에 "중국시장을 제외한 배터리 사용량이 83% 가까이 증가한데 비해 중국시장을 포함하면 증가율이 64.0%로 20% 포인트 가까이 떨어지는 것은 비중국 시장이 약진했고 그만큼 중국시장은 부진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밝혔다.

중국정부가 우리기업들이 생산한 배터리를 장착한 전기차에도 보조금을 지급하는 것으로 정책을 바꾸면 점유율이 훨씬 호전될 수 있다는 뜻이다.

+ Recent posts